새로운 집으로 이사를 오게 되었습니다.
전 집보다 두 배 정도 넓어진 공간에 만족하면서도 한 편으로는 전 집에서 겪지 못한 문제점 들을 겪고 있습니다.
예전 집에는 오히려 룸 어쿠스틱이 나쁘지 않았습니다. 일반적으로 흔히 겪는 low frequency (저역대) 문제가 없었기
때문이죠.
새로 이사 온 집은 50hz 부터 150hz 의 저역대가 굉장히 들쑥날쑥 합니다.
머리를 왼쪽으로 몇 센치만 움직여도 저역대의 움직임이 아예 달라지죠.
룸 어쿠스틱을 조절하는 것 중 가장 어려운 것이 저역대 입니다. 더 많은 계산과 제품들과 시간을 필요로 하죠.
지금 상황에서 바로 믹스를 해야 한다면,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스피커 vs 해드폰 믹스는 항상 많은 토론 거리를 불러 옵니다.
스피커로만, 혹은 해드폰으로 만으로 충분히 믹싱을 잘 하시는 분들이 있기 때문에 어느 쪽이 좋다를
얘기 하기 보단 두 시스템의 좋고 나쁨을 한 번 이야기 해 보려 합니다.
무조건 비싼 스피커가 결코 좋은 것은 아니라고 생각 합니다.
어떤 분들은 “스피커는 무조건 몇 인치 이상 이여야 믹스가 가능하다” 라고 하시기도 합니다.
그런데 만약에 저역대의 문제가 엄청나게 많은 룸에 엄청나게 큰 인치의 스피커를 셋업을 하면 어떻게 될까요?
그 룸에서 일어나는 저역대의 문제는 몇 배 이상이 되어 버리고 오히려 몇 천만원 어치의 스피커를 셋업 한다
하더라도, 몇 십만원 어치의 스피커보다 좋지 못한 성능을 내 줄 수도 있습니다.
스피커는 룸 어쿠스틱과 함께 갑니다. 전문 스튜디오 셋업을 전문적으로 컨설팅 해주는 어쿠스티션 들은
스튜디오를 디자인 할 때, 어떤 브랜드의 어떤 타입의 스피커를 사용할 것인지 물어보고
해당 스피커에 맞추어서 룸을 디자인 합니다. 이럴 정도로 각 룸에서 스피커는 다른 소리를 내어 주기 때문에
자신이 믹스를 하는 공간인 룸은 스피커의 나머지 반쪽이라고 생각해도 될 정도로 중요합니다.
대부분의 홈 스튜디오 유저들은 그런 룸에 사실 큰 투자를 하기가 힘듭니다.
조금 신경 쓴다고 하면 어쿠스틱 폼 몇 개 혹은 스피커 받침대 정도가 가능하죠.
이렇게 룸을 신경 쓰지 못하면 스피커는 제대로 된 정보를 주지 못하기 때문에
제대로 된 믹스를 하기가 어려워 질 수가 있습니다.
충분한 조사로 자신의 상황에 어울리는 스피커를 사서, 자신의 룸과 스피커의 조합을 장시간 들으며
그 룸과 스피커의 사운드에 적응을 해야 합니다.
해드폰은 아주 간편 합니다. 노트북에 바로 꼽아서 들을 수도 있고. 룸 어쿠스틱을 생각하지 않아도 되니 말이죠.
하지만 해드폰은 또 그 나름대로의 문제가 있습니다.
해드폰은 바로 귀 앞에서 소리를 내 주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 시 귀에 큰 무리가 가며,
아주 단 시간에 귀를 지치게 합니다.
귀가 지치게 되면 올바른 믹싱 결정을 내리기 힘들겠죠.
믹스를 할 때, 기타 트랙을 hard pan left (왼쪽 끝으로) 팬을 했다고 생각해 보겠습니다.
그러면 스피커/해드폰 에서 소리가 왼쪽에서 나겠죠.
스피커에서 작업을 할 때는, 비록 스피커의 왼쪽에서만 소리가 나지만, 동시에 소리가 룸 안에서
반사를 해서 오른쪽 귀에도 들어갑니다.
그런데 해드폰에서는 왼쪽에서만 소리가 나기 때문에 무언가 부자연스러운 소리를 내 줄 수가 있죠.
이러한 이유로 어떤 해드폰 엠프들은 왼쪽에서 소리가 나더라도 오른쪽에 소리를 어느 정도 내어주는
Cross Feed 기능을 장착하고 있기도 합니다.
해드폰은 그리고 대부분 모든 소리가 “좋게” 들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모든 소리가 귀 앞에서 들리기 때문에 깔끔하고 적나라하게 들리죠.
해드폰에서 믹스를 한 것을 스피커로 틀으면 소리가 완전히 다르게 느껴진 경험 있으실 겁니다.
해드폰으로 믹스한 결과물은 다른 시스템에서 틀었을 때 잘 전달이 안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적나라하고 가깝게 들리는 해드폰이 믹스 작업에서
노이즈나 클릭 소리, 팝 소리 등을 잡아 내기에는 스피커보다 훨씬 적합하죠.
자 그래서.. 해드폰으로 믹스하라는 건지 스피커로 믹스하라는 건지 모르겠다 구요?
저는 두 가지를 같이 병행하는 것이 홈 스튜디오에서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일단 스피커로 기본적인 발란스와 사운드를 잡아 놓고, 스피커로 만들 수 있는 가장 좋은 소리를 만들고 나서,
해드폰으로 채크를 하면, 자신의 룸 어쿠스틱 때문에 가려졌던 문제점들, 그리고 저역대의 불안정한 움직임들을
쉽게 찾아낼 수 있습니다.
물론 여유가 되신다면 해드폰은 너무 저렴한 해드폰이나 상업용 해드폰 (예:Beats headphone) 은 피하시고
어느 정도 높은 퀄러티의 해드폰을 사용하시는 것이 좋겠죠.
작업할 수 있는 시간대가 저녁 이후여서 옆집, 윗집, 혹은 가족들의 눈치가 보여 어쩔 수 없이 해드폰으로만
작업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해드폰에 익숙해지고 장시간 작업만 멀리한 다면
해드폰만 가지고도 충분히 좋은 소리를 만들어 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자신의 작업물이 다른 곳에서 어떻게 변화가 되는 지를 경험으로 깨닳게 되면,
저가의 스피커, 저가의 해드폰으로도 충분히 좋은 사운드를 만들어 낼 수 있으니까요.
알렌님이 생각 하시기에 믹싱할 때 좋은 헤드폰은 어떤 것이 있나요? 사실 모니터스피커를 사용하기 어려운 형편이라서 헤드폰 위주의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shure srh440이라는 헤드폰을 사용하고 있는 데 새로운 헤드폰을 장만하고 싶은 마음입니다. 혹시 지금 제가 쓰고 있는 헤드폰에서 업그레이드가 될 수 있고, 믹싱작업을 해도 밸런스를 잘 잡을 수 있는 장비가 있을까요?
저는 많은 해드폰을 사용해 보진 않아서 제가 써본 것들 밖에는 추천할 수가 없네요 ^_^;
개인적으로는 AKG K702 모델 그리고 젠하이저 HD600 (이것은 웬만한 모니터 스피커 가격 이상이죠)
그리고 Beyerdynamic 계열의 해드폰들이 좋았습니다.
너무 고가의 해드폰을 사용할 수 있는 여유가 안된다면 사용하는 해드폰에 익숙해 지는 것도 하나의 방법 입니다.
UK입니다 반지하님^^
글 너무 잘 보았습니다.
확실히 말씀하신 헤드폰들은 레퍼런스급이라고 표현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지금의 저는 K702 65주년 한정판을 쓰고 있는데,
A5X랑 모니터할 때 좋은 비교가 되어주고 있습니다.
단점은…육아 때문에 A5X가………동요나-_-;;뽀로로 같은거 틀어줄 때 사용되고 있….;
장점으론….아들놈이 사운드에 눈을 뜨고 있….; (특히, 브라스를 참 좋아합니다;;)
회사에서는 소니 Z1000을 쓰고 있어서 개인적으로 잘 맞는 AKG계열로
밀폐형 헤드폰을 알아보던 중 기회가 되어 K550 등을 청음할 기회가 있었는데
…Aㅏ
제가 느끼기엔 702와 차이가 좀 있었습니다 ㅠㅜ
근데 퀸시 아저씨가 튜닝하셨다는 Q701,702 시리즈랑 K702랑은 어떻게 다를지 좀 문득 궁금해지네요
….라며 산으로 간 댓글을 마칩니다;;;
안녕하세요 🙂 오랜만 이네요.
페이스북에 Mutual Friends 가 몇 몇 서로 있어서 가끔 댓글을 통하여 뵙고 있습니다 :0)
저도 AKG 의 Q 시리즈는 어떨지 궁금하네요.
저는 지금은 K702 을 처분하고 Sennheiser HD600 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질문 하나 드릴게요..
위의 상황과 반대로 저음이 너무 부족할때 조치할수있는 방법은 어떤것이 있나요?
스피커 자체에 저음이 부족하다면 스피커를 바꾸어야 합니다.
스피커 자체의 저음이 부족한게 아니라 룸어쿠스틱때문에 저음이 상쇄되는 위치에서 모니터링을 하고 계신거일수도 있지않나요?
충분히 가능한 이야기 입니다.
혹은 자신이 원하는 저음이 충분히 안 나올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사람마다 생각하는 적정량은 모두 다르니까요…
안녕하세요 좋은글 잘 보고 있습니다. 너무나 좋은글이라서 제 블로그에 스크랩했습니다.
먼저 허락도 없이 스크랩해서 죄송합니다.
문제가 있을시 삭제 하겠습니다.
제 블로그는 http://blog.naver.com/jijes007 입니다.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좋은 정보 많이 부탁 드립니다.
에고 제가 스크랩한 글은 녹음 레벨 관련 글이었습니다. 엄한곳에다가 리플달았네요. ^.^
출처만 밝혀 주신다면 저는 환영 입니다.
무단으로 퍼가시는 분들도 많은데 이렇게 글까지 남겨 주셔서 감사하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
저의 사이트 주소만 처음이나 마지막에 다시 한번 남겨 주시면 더 더욱 감사할 것 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