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시는 공부가 어떤 거에요?”
라고 누군가 물어보면 ..”엔지니어..” 라고 답하긴 무언가 애매하고
“사운드 엔지니어에요” 라고 답하면
대부분 “아…” 하고 넘어가죠. (뭔지 모른다고 말해요 그냥..!)
사운드 엔지니어는 참 어떻게 보면 굉장히 위치가 애매합니다.
뭐랄까요.. 음악 시상식에서 엔지니어에게 감사를 하는 경우는 많이 보기 힘들죠.
어떻게 보면 엄청나게 많은 일을 하면서 대부분 세상에 알려지지 않지만
음악 프로덕션에서 그 누구보다 못지않게 힘들게 일을 해야 하는..
그리고 프로듀서 쪽과 아티스트 쪽 둘 다를 만족시켜야 하고 항상 눈치를 봐야하는..
사운드 엔지니어가 한 프로덕션을 이끄는 경우는 이제는 거의 없다고 생각됩니다.
대부분 고용이 되어서 누군가를 위해 일을 하는 직종이죠.
제가 생각하는 사운드 엔지니어는 “서비스” 업 입니다.
이런 얘기를 들었습니다.
“라디오를 틀면 음향적으로 정말 별로인 음악들이 많이 들려..
왜일까?
세상에서 가장 실력 있는 엔지니어들만 음악을 녹음하고 믹스 하는 것이 아니라는 거지.
그 아티스트/프로듀서는 분명히 그 엔지니어와 같이 일 하는 게 좋고 편하니까 계속 일을 하는 거겠지.
스튜디오에선 가장 필수라는 엔지니어링 스킬은 단순히 장비를 만지는 것이 아니라
사람의 마음을 만질 수 있어야 하는 거니까.”
정말 100프로 공감하는 말 입니다.
몇십 년 전 처럼 엔지니어가 기타리스트한테 맥주를 던져서
그걸 맞고 피를 흘리며 녹음을 했다거나… 콘솔 위에 총을 장전해 놓고 녹음을 했다거나..
…
이제 그런 일들을 있을 수가 없죠. 녹음을 하다 보면 아티스트의 실력
그리고 엔지니어의 실력도 굉장히 중요하지만 그 둘의 커뮤니케이션과 조화가 완벽하게 이루어 지지 않으면
절대로 좋은 사운드가 나오질 않는 다는 것을 매번 느낍니다.
많은 경우가 있겠지만 .. 한 가지 생각나는 일이 있네요.
친구가 밴드를 녹음하는데 도와 달라 하여서 도와주던 일이 있었습니다.
그 친구의 프로젝트 였기 때문에 마이크의 위치나 선정 그리고 모든 세션은 그 친구가 하고
저는 옆에서 케이블 정리라던지 를 도와주던 상황이었죠.
이 친구는 너무나 사운드에 집중을 해버려서.. 밴드가 도착하고 3시간이 되도록 녹음이 시작되지
않았습니다. 그 친구는 컨트롤 룸 안에서 소리를 잡고 있었기 때문에 아티스트의 상황을 아예 모르고 있었죠.
중요한 건.. 이 모든 과정에서 한번도 제대로 된 토크백이..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것 입니다.
아티스트 쪽에 있었던 저는 밴드 맴버들이 지루해 하고 지치고 너무나 길어지는 사운드 체크에 화가
나려고 하는 것을 보았죠.
만약에 그 친구가 그런 상황을 배제하고 계속 소리를 만지는 데만 집중하였다면 아티스트가 화가 나서
제대로 된 연주가 나오지 않을 수도, 혹은 아예 스튜디오를 떠나는 사태가 나올 수도 있었겠죠 (실제로
여러번 있었던 일 입니다).
그렇습니다. 기기를 만지는 스킬도 중요하지만 사람의 마음을 만질 수 없다면 사운드 엔지니어로써
그 빛을 내기가 힘든 것 같습니다. 제가 지금까지 만난 최고의 엔지니어 들은 하나 같이 성품이
좋았습니다. 아니, 그렇게 느껴졌습니다.
Oscar Peterson, Diana Krall 등의 엔지니어 였던 저의 옛 선생님은 수업 시간에는 정말
학생들을 휘어잡고 무섭게 가르치셨는데, 제가 아티스트의 입장으로써 스튜디오에 들어갔을 때는
마치 저의 친 할아버지처럼 저를 대했습니다.. (그 때 느꼇던 당황감이 잊혀지질 않네요..)
그 분은 아예 몸에 베어있는 것 이겠죠. 그 오랜 시간동안 엔지니어로써 살아온 그 습관이.
아티스트에겐 무한한 친절을 베푸는 그 마음이.. 맥길에 계신 George Massenburg 교수님도
같으신 걸로 유명 하시죠.
마찬가지로 주위에서 성품이 좋지 않은 엔지니어를 몇 보았는데, 현업에서 종사하지 않거나
그저 그런 일들만 하고 있는 경우도 많이 보게 되었습니다.
엔지니어란.. 테이크가 끝난 뒤에,
“아.. 장난아니네요.. 그런식으로 연주하실 꺼면 당장 스튜디오에서 꺼져 주세요.. 아참.. 그리고 집에
가시는 길에 가까운 악기점에 들려서 악기는 팔고 가세요.”
라고 말하고 싶은 마음을 꾹 참고
“와, 첫 테이크 인데 엄청 좋은데요? 아직 손이 덜 풀리신 것 같으니까 천천히 계속 해볼까요?”
라고 말할 수 있어야 하는..
“아놔 양심적으로 바이올린 연주자라면 튜닝은 좀 하죠. 지금 430Hz에 튜닝하고 온 거 아니죠?”
라고 말하고 싶은 마음을 참고..
“Great take!!! Before we do another one, can we tune to make sure we are all in tune?”
라고 말할 수 있어야 하는..
최고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어야하는..
그것이 사운드 엔지니어가 아닐까요.
이런 생각을 하시니 분명 좋은 엔지니어가 되실것 같습니다..
그러길 저도 소망해 봅니다 🙂
음악바닥은 뭘 하든 ‘사람과 사람사이’ 라는 게 전제니까요… 공감 많이 갑니다. 특히 교회에 있는 많은 사람들에게 해주고싶은 이야기네요. 유난히 교회서 오퍼에 있는 사람들을 너무 홀대하는 경험을 많이 겪어서요..
음향/사운드 엔지니어가 교회에서 겪는 고통은..
북미 교회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 일 입니다 ^_^;;
안녕하세요 매일 올라오는 글 읽으면서 다짐을 다짐을 합니다.. 향후 영화ost나 광고.영상 배경음악등 작곡하고 만들고 싶은데요. 그전에 먼저 사운드 엔지니어도 관심이 많은편입니다.하지만 음악방면으론 전혀 무방해서 화성학부터 공부하고 공부중입니다. 하지만 당췌 방향성이 잡히지 않는데요 실례가 되지 않는다면 공부를 하신 동기 혹은 시작과 공부하신 배경등을 소개해주시는 글을 적어주실수 있으긴가요.일대기라 할까요.. ㅎㅎ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저에 대한 이야기는 http://www.alanjshan.com/about-me/ 에 한 번 써 보았었습니다 🙂
감사합니다.^^열심히 공부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정말 매번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저 또한 같은 생각을 하고 있었습니다. 저만 그러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거 같은 느낌이 들어 외로운 생각이 들었지만 정말 글하나 하나 볼때마다 배우는 것도 많고 정말 이지 저에게 엄청난 힘을 주십니다. 올해 30 입니다. 음향을 시작한지 얼마 되지 않았습니다. Alan JS Han님은 저에게 선생님이시자 희망같은 분이시세요. 부담스러우 시다면 죄송합니다. 하지만 저에게 꿈을 꾸게 해주십니다. 감사합니다. ^^
좋은 말씀 감사드립니다 ^_^
안녕하세요 궁금한점이 있는데요. ‘사운드엔지니어’가 기계를 만들기도 하나요? 스피커나 이어폰 만드는걸 하고싶은데 선생님께서 설명하시는 사운드엔지니어가 이런일도 하는지 궁금하네요
기계를 만드는 사운드 엔지니어도 존재합니다. Parametric Equlizer 를 처음 발명한 George Massenburg 님도 Earth Wind and Fire, Prince 등 최고의 아티스트와 작업을 같이한 사운드 엔지니어이자 테크니션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