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 레코딩 강좌 두번째 이야기에서는 보컬 녹음에 대하여 다루어 보았습니다.
강좌에서 나온 모든 사운드 예제는 무손실 음원으로 다운로드 받아 직접 들어보실 수 있습니다.
다운로드 링크 : Alan JS Han Recording tutorial – vocal
레코딩 강좌 첫 번째 편, 어쿠스틱 기타 와 마찬가지로 번외편을 준비해 보았습니다.
같이 예제를 들어보고 소리를 어떤식으로 만들 수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소리 예제를 직접 다운로드 받으셔서 제가 번외편에서 보여드리는 믹스 테크닉을 자신이 사용하는
프로그램에서 직접 만져보며 연습해 보시면 더욱 더 좋은 연습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많은 공유 부탁드립니다 🙂
항상 궁금했지만 실험해볼수없었던 혜자급 강의 너무 감사합니다..
큰도움이 됐습니다 !
남자 보컬 테스트이길 내심 바랬는데 !
안녕하세요 강좌 너무 잘보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한가지 궁금한게 있어서요. 강좌에 나온 파일을 보면 피크까지 크게 녹음 하신거 같은데..
원래 그렇게 크케 녹음 하는건가요? 아니면 강좌를 위해서 크게 녹음 하신건지 아니면 노멀라이즈를 하신건지요?
예전 강좌에서는 녹음 너무 크게 하지 말라고 하셨던거 같아서요~
그럼 답변 기다릴께요 항상 좋은 강좌 감사히 생각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녹음 후에 모든 예제의 동일성을 위하며 모두 노멀라이즈 하였습니다.
실제로는 평균적으로 크게 녹음하지 않습니다 ^_^;
노멀라이즈를 하셨다는데 각각 녹음된 보컬파일을 보니까 노이즈의 양이 모두 똑같네요.
마이크로 멀리서 녹음을 했으면 보컬이 적은 소리로 녹음되어서 볼륨을 올릴떄 좀더 많은 노이즈가 생기지 않나요?
만약에 프리엠프의 레벨을 똑같이 하고 레벨을 나중에 노멀라이즈 하였다면
노이즈와 신호의 비율 (signal to noise ratio) 가 줄어드는 것이지 노이즈가 더 생기진 않습니다.
만약에 프리엠프를 레벨을 조정하였다면 프리엠프 자체의 노이즈가 더 생겨서 노이즈 레벨이 올라갈 수는 있죠.
이 것은 어떠한 프리엠프를 사용했냐에 따라 다릅니다.
저의 예제의 경우 프리엠프 레벨을 다르게 했으나 노이즈가 거의 없는 성향의 프리엠프인 Grace 프리엠프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노이즈 레벨이 같은 것 같습니다.
궁금한점이 더 있는데요. 녹음할때 콘덴셔마이크의 볼륨이 작기떄문에 프리앰프를 반드시 사용해야 하나요?
그렇다면 마이크-녹음기 보다 마이크-프리앰프-녹음기가 더 적은 노이즈를 얻어낼수 있는건가요?
프리엠프는 마이크에서 나오는 신호를 증폭하여 주는 역활을 합니다.
마이크 – 녹음기 에서 녹음기는 컨버터를 말씀하시는 것 이겠죠?
컨버터는 증폭 기능이 없기 때문에 마이크의 신호를 올려주지 못하여 녹음을 하면 소리가 아주 작게 될 것 입니다.
프리엠프는 거의 모든 오디오 인터페이스에 자체적으로 설치가 되어 있습니다.
이것들을 우리는 내장 프리엠프라고 하며, 외장 프리엠프도 다양한 제품이 존재합니다.
녹음을 하는데 있어서 프리엠프는 언제나 존재합니다.
성심껏 답변을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Alan JS Han님~ ^_^
해드폰 마이크로 녹음할때 가까이 녹음을 해서 피열음이 심하게 발생했는데, 마이크와 입하고 거리를 두면서 녹음을 하니까 피열음이 상당히 줄어들었습니다.
녹음을 할떄 좋은 녹음을 얻기 위한 좋은 방법을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