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 Tools 등록 절차는 다른 소프트웨어 들에 비하여 조금 까다롭습니다.
Logic Pro 는 앱스토어에서 다운로드만 받으면 되고,
Studio One 같은 경우는 바로 컴퓨터 인증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에 비하여
iLOK 을 사용하는 Pro Tools 는 조금 절차가 복잡하죠.
프로툴스를 등록하기 위해선 두 가지의 아이디가 필요합니다.
첫 째, http://www.avid.com 아이디를 만드셔야 합니다.
그리고 https://www.ilok.com 아이디를 만드셔야 합니다.
또한, i LOK License Manager 를 다운로드 받으셔야 합니다.
아이락이란 무엇인가?
아이락은 소프트웨어 라이센스를 관리하는 USB 형식의 키 입니다.
자신이 사용하는 소프트웨어의 라이센스를 USB 키에 넣어두면, 컴퓨터를 옮겨 다니며
작업을 할 때, 소프트웨어만 설치하면 자신이 가지고 있는 모든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죠.
여러 컴퓨터에서 작업을 하는 사람에겐 굉장히 좋은 시스템 입니다.
작업 컴퓨터가 하나라면 계속 꼽아두면 됩니다.
불법 소프트웨어에 맞서기 위한 회사들의 방법이지만
아이락이 분실/파손 될 경우 초래하는 불편함은 상당 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아이락은 프로툴스를 구매하시면 박스안에 동봉되어 있습니다.
프로툴을 구매 하시면 프로그램 자체는 시디로 설치하는 것 보다 아비드 사이트에서
다운을 받는 것이 최신 버전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더 좋은 방법 입니다.
아비드 사이트에서 아이디를 만드신 뒤,
Home -> Activate & Download Your Product 에 가시면
프로툴스와 딸려온 엑티베이션 넘버를 써야 합니다.
그리고 난 뒤에는 ilok 아이디를 써야 합니다. 미리 아이락 사이트에 가입을 해서
아이디를 받아 두어야 겠죠.
그리고 나서 My product 에 가시면 등록된 소프트웨어가 있는걸 보실 수 있습니다.
2014년 7월 21일 현재, 프로툴스 10을 구매 하시면 11도 주기 때문에 뒤 화면 처럼
두 개의 Product 가 있는걸 보실 수 있습니다,
원하는 버전을 누르시면
제품에 관련된 드라이버와 풀 인스톨러를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제품이 다운로드 되는 동안 iLOK 에서 다운로드 받은 아이락 라이센스 매니저를 실행 시키면
(아이락 키는 컴퓨터 USB 포트에 꼽아 두시고)
프로툴스 소프트웨어가 아이락에 들어와 있는 걸 보실 수 있습니다.
처음에는 ilok 아이디에 라이센스가 들어와 있으니,
Activate 을 누르신 뒤, 아이락에 라이센스를 이동시킬 수 있습니다.
이제 어느 컴퓨터에든 프로툴스를 설치하면 아이락만 가지고 다니면 프로툴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죠.
간단하게 프로툴스 등록 절차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 프로툴 등록 절차에 관한 여러 글을 쓴 적이 있습니다. 아이락 관련 저는 한국에서의 등록 절차는 다를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구입하신 […]
제가 지금 저도 이해가 안되는 상황을 겪고 있어서 너무 답답해서 질문드려요…. 프로툴즈9을 사자 마자 바로 등록을 하고 아이락도 잘 등록해서 쓰고 있다가 맥을 한번 밀고 새로 까는 상황에서 프로툴즈9을 홈페이지에서 다운 받아서 깔자 하고 홈페이지 로그인을 했더니 등록된 products가 없다고 나오는겁니다? 그래서 뭐지? 하고 아이락 홈페이지 들어가서 보니까 그것 역시 똑같이 등록이 안되있어서 그때 안했나 하고 등록 시리얼을 넣으니까 등록된 시리얼이라고 뜨는겁니다;; 아이락 키는 잘 되는데 이렇게 등록이 안되있는 상황은 어떻게 해야하나요? usb ilok을 이용해서 ilok 홈페이지에는 라이센스 연동을 해놓은 상태인데 avid홈페이지에서는 여전히 제 products가 없다고 나옵니다…… 이 상황을 타게할 방법 좀 알려주세요 ㅠㅠ 부탁드립니다.
오인페를 사서 같이 딸려온 프로툴즈 First를 쓰려고 하는데(iLok은 동봉 안되어 있었습니다), iLok lisense manager가 컴퓨터에 깔리지 않아 차선책을 iLok usb를 따로 사려고 합니다. 다른 사람 컴퓨터에 확인 했을 때에는 라이센스가 등록은 되어있는데, 따로 iLok usb를 사서 사용해도 문제 없나요?
제가 pro tools first 를 사용하지 않아 정확하게는 모르겠으나 ilok 으로도 인증이 가능할거라 생각합니다. 그래도 돈을 따로 들이는것 보다 컴퓨터에 라이센스 매니저를 까는 것이 낫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