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 Point Blank 온라인 매거진에서 10 Mixing Mistakes Everyone Makes 라는 제목으로
음악을 믹스할 때 가장 많이 하는 실수 10가지에 대해서 다루어 본 적이 있습니다.
원문은 http://plus.pointblanklondon.com/10-mixing-mistakes-everyone-makes-and-how-to-avoid-them/
이곳을 참조해 주세요.
원문을 번역하기 보다는 저희 경험 한 숟가락을 첨가해서 이야기 해 볼까 하네요.
1. Panning Everything Centrally
패닝의 중요성에 대해선 비디오도 한 번 제작해 본 적이 있습니다.
믹스에서 패닝은 정말 중요 합니다. 그리고 어떤 악기가 가운데에 가게 될 지를 결정하는 것도 굉장히 중요하죠.
스테레오 믹스에서는 언제나 공간이 부족합니다. 가운데 악기들을 몰아 넣기 시작하면 금세 믹스가 어두워지고
답답해 지는 것을 느끼실 수 있습니다. 왼쪽으로 10% 오른쪽으로 25% 보다도
가장 중요한 악기를 가운데에 (킥, 베이스, 보컬 , 스네어) 놓고 적극적으로 패닝을 벌려보는 것도 하나의 아이디어 입니다.
2. Only Using EQ to Boost
EQ 를 부스트만 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을 주의해야 합니다. 저는 항상 믹스를 할 때, 이큐를 첫 번째에 넣고
Cut (깍는것) 을 먼저 합니다. 이 부분은 저의 수많은 비디오에서 보실 수 있는 방법 입니다.
악기에서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그 부분을 부스트 하기 보단, 다른 부분을 깍아서 그 부분이 부각되게 하는 방법이죠.
물론 때론 부스트가 필요하지만, 이큐를 부스트로만 쓴다면, 마찬가지로 악기들 간의 간섭 때문에 믹스가 금세 먹먹해 집니다.
3. Lack of Headroom
디지털에서는 0dbfs 이 한계점 입니다. 소리가 그 부분을 넘어가게 되면 디지털 클리핑이 일어나죠 (Digital Clipping).
Daw 들로 작곡을 하다보면.. 가상 악기를 불러왔을 때 소리가 말도 안되게 큰 경우가 많습니다.
거의 0dbfs 를 왔다 갔다 하는 볼륨이 프리셋이 되어 있는 경우가 많죠. 그런 경우에는 가상 악기 자체에서
소리를 조금 줄여서 해드룸을 남기는 것이 하나의 방법 입니다.
4. Be Careful with Reverbs at the Bass End
이 글에서는 리버브를 사용할 때, 베이스 주파수를 조심하라고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저의 여러 리버브 강좌를 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리버브에 EQ 를 사용하여 저역대와 고역대를 컨트롤 하는 것은
자신만의 케릭터가 있는 리버브 소리를 만드는 중요한 방법 입니다.
5. Take Mix Breaks
저는 믹스를 할 때는 배고픔도 잊는 경우가 많습니다. 너무 집중을 하기 때문이죠.
그것이 좋은 것일수도 있지만 때론 나쁘기도 합니다. 너무 집중을 하기 때문에 귀가 쉽게 피로해지고
몸에도 무리가 가는 경우가 많이 있죠. 믹스를 할 때, 한 두시간 안에 한번씩 쉬는 시간을 갖는 것은 정말 좋은 습관입니다.
때론, 10분 휴식을 하고 돌아 와서 지금까지 한 믹스를 들으면
“왜..이렇게 믹스했지..?” 라고 생각이 들 때가 많이 있습니다. 한 번에 앉아서 믹스를 끝내려 하면 안됩니다.
여유를 가지고 천천히 하는 것이 좋죠.
자신의 믹스를 체크하는 방법 글도 한번 참고해 보세요 🙂
6. Avoid Mix Presets
플러그인에서 믹스 프리셋을 쓰지 말라는 이야기 입니다. 하지만 저 같은 경우는 믹스 프리셋을 불러와서
저의 음악에 맞게 소리를 만질때가 많습니다 ^_^..
프리셋의 위험함은 그 세팅에서 오는 문제가 아니라 대부분 Gain Matching 에서 올 때가 많죠.
그 부분에 대해서는 아래 동영상 들을 참고해 주세요.
7. Using a Single “Drum” Track
대부분의 믹스가 제가 녹음을 하는 저의 입장에선 하나의 드럼 트랙을 사용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하지만 집에서 작곡을 하시는 경우, loop 을 쓰실 때 하나의 스테레오 드럼 트랙만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죠.
그 부분을 주의 하라는 말 입니다. 믹스를 할 때, 떡하니 스테레오 파일 하나만 있으면.. 드럼 소리를 잡는 것은 불가능 합니다.
드럼이라는 악기는 하나의 악기가 아니라, 여러 개의 드럼 소리가 합쳐진 드럼 세트를 일컫습니다.
샘플을 사용하더라도, 킥 따로, 스네어 따로 그루브 따로 찾는 것이 최종 믹스를 할 때 훨씬 좋습니다.
8. Clear Arrangement, Clear Mind
프로툴스 세션을 받았는데.. 트랙 이름이 하나도 없는 경우가 있었습니다.
Audio.01, Audio.02 이런 식으로 이름이 되어 있는 경우죠.. 집에서 작곡이 되었던 믹스가 되었던
깨끗하게 세션을 정리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은 정말 중요합니다. 몇 년 뒤에 그 세션을 열어도
킥 드럼 트랙을 5초안에 찾을 수 있을 만큼 말이죠. 트랙의 이름, 불필요한 트랙의 정리, 그리고 마커 (marker) 와
칼러 코딩 (Color Coding) 을 이용한 세션 정리는 정말 중요합니다.
9. Mix is not a master
믹스시에 자신의 믹스를 너무 “크게” 만들려 노력하지 않아도 됩니다. 물론 홈 레코딩에서는 대부분의 유저분들이
자신의 음악을 직접 만들고, 믹스하고, 마스터를 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믹스를 할 때는 너무 음압에 신경을 쓰지 않으셔도 됩니다. 차라리 믹스는 편하게 하고,
스테레오 파일로 믹스를 바운스 하여 그 스테레오 파일만 가지고 음압을 올리는 과정을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입니다.
물론 제일 좋은건.. 마스터는 마스터링 엔지니어에게 맡기는 것 이겠지만요 ^_^..
10. Vocals – Compressors Alone Won’t Provide Balance
말이 많은 주제이긴 합니다. 왜 그런진 모르겠지만 온라인 상에서는 보컬을 녹음할 때,
컴프레서로 꾹 꾹 눌러서 담아야 한다는 이야기가 굉장히 많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납득하기 힘든 이야기 입니다..
그 이유에 대해선 올바른 녹음 레벨 에서 알아 보았죠.
적절할 레벨로 녹음을 한 뒤, 컴프레서 보다는 오토메이션을 이용하여 소리를 맞추고
컴프레서로는 살짝 눌러주기만 하는 믹스 방법이 있습니다.
물론 오토메이션 거의 없이 컴프레서로만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음악에 따라 다른것 이니까요.
하지만 모든 것을 컴프레서에만 의지하는 것은 때론 “위험할”수가 있죠.
오토메이션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보세요 ^_^!
리버브 강좌에 나온 얼리 리플렉션 리버브의 효과에 관해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강좌를 정리 하면서 질문 드리자면 피아노 소스가 너무 가깝고 렉시콘 리버브는 너무 뒤에 있어서 리버브가 가짜 리버브 처럼 들릴수 있어서 얼리 리플렉션을 사용한 것이라는것은 알겠는데 얼리 리플렉션도 리버브의 일종인건가요? 피아노원음->초기반사음리버브->렉시콘리버브 ??? 인건가요? 얼리리플렉션의 효과와 용도가 확실히 이해가 안되고 있는것 같습니다 도와주세요 @.@
Early Reflection 은 리버브의 일부 입니다. 리버브 라는 것은 오리지널 사운드 -> early reflection -> tail 로 이루어져 있죠.
리버브가 가짜처럼 들린다기 보다는 소스는 가까이 있는데 tail 만 멀리 들리는 느낌이 들어서
원음 소리에 early reflection 을 더 섞어서 피아노 소리를 좀 더 멀리 (뒤로) 보내는 것이죠.
좋은정보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
정말 정보 감사드립니다 ㅠㅠ 이 소중한 정보는 작곡가들은 돈줘야 알려줄정도의 기술을 이렇게 공유해주시다니 감사합니다 배우고 갑니다
감사합니다 ^_^
군더더기 없는 강의 고맙습니다 ^^
감사합니다 🙂
좋은강의 소중한 정보 정말 감사드립니다!!! 덕분에 전 밤을 새야 되지만요ㅠㅠ…ㅋㅋ
하.. 정말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꾸벅)
감사합니다!
피아노연주곡 앨범 준비중입니다. 가상악기피아노로 하고,오디오파일로변환 후 음압을 올리는데요. Daw상에서 TP도안뜨고 씰링도-1, 풀레인지 모니터체크도 정상인데, 한드폰으로재생시 조금만강한 구간이나오면 찌직거리네요ㅜㅜ 작은볼륨에서도 느껴지고요. 어떤것을 더 체크해봐야할까요?
유튜브나 게시글을 통해 자주 보면서 공부하고 있습니다! 좋은 강의 정말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