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ic Pro X 가 버전 X 로 업데이트 된 후, 가장 큰 메이저 업데이트인 10.1 으로 올라왔습니다.
굉장히 많은 부분이 향상되어서 로직 프로 유저분들은 업데이트를 “꼭” 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그럼 간단하게 어떤 부분들이 바뀌었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새로운 EDM 드러머
확실히.. EDM 장르가 대세이긴 한 것 같습니다. 이전의 팝과 롹 장르에 맞추어져 있던 드러머가 이젠 EDM 드러머들을
업데이트 시키면서 손 쉬운 비트메이킹을 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새로운 드럼 머신 디자이너도 추가 되었습니다.
리디자인 된 컴프레서
컴프레서 플러그인이 완전히 새롭게 바뀌었습니다. 완벽하게 바뀐 GUI 디자인은 물론 새롭게 등장하고 있는
타 사 컴프레서들이 가지고 있는 Distortion (saturation) 레벨, 그리고 MIX 놉 까지.. 7개의 다른 컴프레서로 7개의 다른
사운드를 만들 수가 있습니다.
드럼 스타일 시퀀싱
드럼 시퀀싱을 할 때, 피아노 롤은 드럼 사운드와 크게 연결고리가 없어서 항상 불편 했습니다.
이제 드럼 비트를 만들 때 피아노 롤이 “드럼 롤” 처럼 바뀌어서 원하는 사운드를 찾는 것이 훨씬 쉬워졌습니다.
새로운 믹서 설정들
믹서에 새로 추가된 기능들이 있습니다.
Audio Device 섹션 (아마 인터페이스들이 로직프로와 연결되는업데이트를 해야 하는 것 같습니다).
이 기능은 Merging Pyramix 가 자신만의 하드웨어를 사용했을 때 제공하는 기능이었습니다.
로직 프로의 믹서 안에서 오디오 인터페이스의 프리엠프, 팬텀 그리고 하이패스, 위상 반전 기능등을 컨트롤 하는 기능입니다.
그리고 VCA 페이더의 등장으로 여러 채널의 레벨을 아주 쉽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VCA 기능은 프로툴스에서는 아주 고가의 HD 버전을 사야만 제공하는 기능입니다.
리전별 오토메이션
이제 리전 별로 오토메이션이 가능해졌습니다. 오토메이션을 복사 붙이기 하지 않아도 리전에 저장이 되어 손쉽게 리전 관리를 할 수
있습니다.
새로운 오토메이션 기능들
Trim 과 Relative 오토메이션이 추가 되었습니다. Trim 오토메이션의 프로툴스 HD 버전에서나 제공하던 아주 좋은 오토메이션
기능 입니다.
향상된 피아노 롤 에디터
새로운 브러쉬 툴의 등장으로 새로운 시퀀싱 방법을 제공합니다.
또한 노트 타이밍 설정이 계썬되었으며 스마트 퀀타이징 지원으로 humanize 와 같은 퀀타이제이션을 제공합니다.
레트로 신스 업데이트
레트로 신스는 이제 8 voice 까지 지원을 해서 더욱 더 색다른 소리를 만들 수 있습니다.
새로운 사운드
200개의 새로운 사운드가 추가 되었습니다.
이 외에도 플러그인 메니저의 개선으로 원하는 플러그인을 쉽게 찾을 수 있으며 (회사 별로 정리 등)
Mail Drop 과 Air Drop 서포트로 세션을 주변 사람들과 손쉽게 공유할 수 있습니다.
이번 버전 업데이트는 다른 DAW 에는 없는 기능들 부터, 다른 DAW 이 자랑하는 수많은 기능들을 추가한
메이저 업데이트 입니다.
저는 현재 스튜디오에서 일을 하기 때문에 Pro Tools 를 사용하고 있지만, 홈 레코딩을 로직 프로로 시작했던 저로선
이런 로직 프로의 업데이트들이 굉장히 반갑습니다.
처음 시작하는 초심자 분들을 위한 기능들이 굉장히 많이 있지만, 전문적인 유저들이 쓰기에도 꼭 필요한
기능들을 차차 추가해 나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로직 프로를 사용하시는 분들은 꼭 업데이트를 하세요!
그러나 만약 현재 중요한 프로젝트 작업에 있으시다면, 어떠한 버그가 있을지도 모르니 10.1.1 업데이트까지
기다려 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 입니다.
VCA Fader의 정확한 기능이 무엇인가요??
VCA 는 따로 서브 그룹을 (AUX 채널) 만들지 않고도 여러 채널의 레벨을 컨트롤 할 수 있는 페이더 입니다.
예를 들자면, 드럼 채널들이 10개가 있을 때, 모든 드럼의 볼륨을 컨트롤 하기 위해선 드럼 채널을 모두 하나의 드럼 버스 로 보내서 컨트롤을 해야 하겠죠.
VCA 는 그렇게 하나의 서브 그룹을 만들지 않아도, 원하는 채널들을 VCA 채널로 묶어서 레벨을 컨트롤 할 수 있습니다.
아하! 이해했습니다!! 전압량으로 볼륨을 조절해서 앞에 Voltage가 붙는 거였군요!!
감사합니다.
네 그렇습니다. vca 는 Voltage Controlled Amplifier 의 약자 입니다 🙂
다른건 다 적용된거 같은대
EQ 가 예전 껄로 뜨내요….버튼같은게 있어서 혹시 예전꺼랑 리디자인 된거랑 왔다갔다 할수있는건가요?;;;
아…EQ 가 아니라 리디자인된게 컴프였내요;;;;;;;허허허
항상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너무 감사드리구요. 질문하나 드려도 될까요?
저는 드럼 트랙들을 폴더안에 넣어서 폴더에서 볼륨 콘트롤을 하는데…
폴더에서 하는거랑 VCA를 사용하는거랑 무슨 차이가 있나요?
VCA의 장점은 해당 트랙들을 굳이 지정된 Aux 트랙으로 서밍 혹은 신호를 보내지 않아도 손 쉽게 채널들의 레벨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음에 있습니다.
또 따로 트랙 그룹을 하지 않아도 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