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9630_10151793875588784_337944279_o-1

 

개인적으로는 블라인드 테스트를 굉장히 좋아하는 편 입니다. 블라인드 테스트는 개인이 가지고 있는 편견과 고정관념을 깰 수 있는 좋은 테스트라고 생각하고 있으니까요. 하고 싶은 테스트를 직접 셋업을 하게 되면 셋업하는 과정과 절차에서 오는 편견 (bias) 때문에 블라인드 테스트는 다른 사람이 셋업을 한 것에 참여를 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혼자서 블라인드 테스트를 만들어 놓고, 이미 어느정도 답을 알고 있는 상황에서 어느 것이 더 좋다 다르다를 말하는 건 정확하지 않으니까요.

오늘은 수업에 일부로 리미터 플러그인들의 블라인드 테스트를 해 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총 10개의 다른 리미터 플러그인을 A 라는 레퍼런스와 B (총 10개) 리미터와 비교하며 각 리미터 플러그인이 -6db 의 게인 리덕션을 가지게 셋업을 하고, 리미터가 믹스에 끼치는 영향, 소리를 어떻게 다르게 만드는가, 색을 입히는가, 리미터의 부작용은 (artifact) 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를 들어보는 테스트 였습니다.

어떤 플러그인들이 테스트에 사용되지 모르는 상황에서 총 10개의 플러그인들에게 1부터 10까지의 점수를 매기고 난 뒤, 마지막에 어떤 플러그인이 어떤 것이였는지를 알게 되는 것 이였죠. 블라인드 테스트 였기 때문에 저는 아주 과감하게 저의 생각을 테스트를 하며 적어 놓았습니다.

마지막 어떤 리미터들이 사용이 되었고, 제가 높게 혹은 낮게 평가한 플러그인들이 어떤 것들인지 알게 되는 순간 경악을 금치 못하였습니다.

다행이도(?) 평소에 굉장히 좋지 않다고 생각하던 리미터 플러그인들이 최하위의  점수를 받은것에, 저의 생각이 맞았다는 안도를 하면서도, 제일 평가가 좋지 않았던 플러그인 중 하나가 제가 항상 자주 사용하던 제품이라는 것을 알게 되면서, “이 플러그인이 이 정도로 소리에 안 좋은 영향을 미치고 있었나?” 라는 엄청난 사실을 알게 된 것이죠. 물론 믹스시에 리미터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 저로썬 테스트에 사용 된 만큼 깊게 리미팅을 하지 않는 세팅으로 사용하곤 했지만, 마케팅에 의해 혹은 디자인에 의해 절대 투명할거라 생각했던 제품이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된 것은 참 충격적인 사실이였습니다.

물론 리미터 라는 것이 어떤 소스에 사용하느냐에 따라서 다르게 반응을 하기 때문에 이번 결과만 가지고 한 플러그인이 최고다 아니다를 가리기는 어렵습니다. 하지만 특정 플러그인을 신봉하던 저에겐 이제 다른 것보다 나의 귀를 더 믿어야 하겠다는 다짐을 하게 만드는 계기가 된 것이죠.

이 테스트는 저를 비롯한 8명의 엔진이어가 함께 참여를 하였는데 놀랍게도 8명의 리스트에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여러 제품들 중, 프로툴스의 기본 리미터 플러그인인 Maxim 이 있었습니다.

 

Screen Shot 2015-10-01 at 10.46.54 PM

최고의 점수를 받은 것은 아니나, 다른 유료 플러그인들에 비해 절대로 뒤지는 성능을 가진 플러그인이 아니라는 점을 눈이 아닌 귀로 확인하게 되어서 DAW 에 포함된 기본 플러그인들이 때론 유료 플러그인들 보다 좋은 성능을 내 준다는 점을 다시 한번 되새김 할 수 있게 된 시간이였던 것 같습니다.

프로툴스 유저분들은 혹시 Maxim 플러그인을 사용하고 있지 않아 보셨다면, 한번 작업하시는 믹스에 사용해 보시길 추천해 드립니다. 🙂

다른 DAW 유저분들도 유료 플러그인들에 손을 뻗기보다는, 기본 플러그인들을 먼저 숙지 해보는 시간을 가져보는 건 어떨까 라는 생각이 드네요.

 

프로툴스 기본 채널 스트립 플러그인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