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에 몸을 담은 지 그리 오래되지 않은 저 이지만
요즈음 처럼 플러그인들이 많은 시대는 없었다 라고 말할 수 있을 만큼
요즈음엔 정말 수많은 플러그인들이 있는 것 같습니다.
저 또한 플러그인에 들인 돈만 합산하면 … 정말 심각하죠…
저는 아날로그 에뮬레이션 타입의 플러그인들이 많이 있습니다.
홈 레코딩 유저로써 실제 하드웨어를 만져보지 못하는 ‘한’ 을 플러그인으로 나마
메꿔보려 하는 마음이 없지 않아 있는 것 같으면서도.. 가끔은
플러그인 회사들의 농락에 놀아나는 것 같기도 합니다.
이를 테면 .. “이 플러그인은 당신의 믹스에 따듯함과 아날로그적 사운드를 제공해 줄 것 입니다!”
라는 문구를 보면 손이 떨리는 게 어쩔 수 없는 ‘음향빠’의 마음이죠..
그래서 인지 수많은 플러그인 회사들이 최근에 많이 내세우는 문구는 “아날로그, warmth (따뜻함)”
인 것 같습니다. 최대 수해자인 Slate Digital 이 이제는 마이크 모델링 제품들까지 만들고 있는 추세니까요.
그런데… 정말일까요?
그런 플러그인들은 정말로 우리의 믹스에 아날로그 사운드를 추가해 주는 것 일까요?
아날로그 사운드란 무엇일까요?
저와 함께 대학원 준비 과정 수업을 듣는 친구 중 저와 완전히 반대인 친구가 있습니다.
플러그인 들을 싫어하고 뭐든지 녹음을 잘 받는 것으로 끝내려고 하는 친구죠.
그러나 아무리 녹음을 잘 받아도 어느 정도의 프로세싱은 필요하기 때문에 플러그인을 쓰긴 하지만
그 친구가 쓰는 플러그인은 단 ‘하나’
바로 프로툴스를 사면 딸려오는 Channel Strip 입니다.
이 친구는 모든 믹스를 채널 스트립 하나로 합니다. (리버브만 렉시콘 리버브를 사용합니다)
채널 스트립이란 하나의 플러그인에 EQ,Compressor,Gate,Expander 등 사실상 믹스에서
필요한 모든 기능을 하나의 플러그인에 담고 있는 플러그인을 말하죠.
사실 프로툴스의 기본으로 들어 있는 Channel Strip은 수많은 좋은 기능으로 무장하고 있습니다.
각 밴드별로 솔로해서 들을 수 있는 이큐, 컴프레서 익스펜더 게이트 그리고 사이드체인까지
가능한 컴프레서, 리미터, Polarity Reverse 버튼 등등..
사실상 이 플러그인 하나로 믹스를 끝낼 수 있게 만들어 놓은 것 이지만,
요즘처럼 플러그인이 포화 상태인 시대에는 거의 많은 분들이 사용하지 않는 플러그인 이죠.
그리고 왠지 공짜로 주는 플러그인은 안 좋다 라고 생각하는 마인드 때문이기도 하고요.
예전에 Waves 플러그인을 사용해 보다가, 알게 모르게 소리에 변화를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주는 플러그인들에 실망하여 속칭 ‘아날로그 소리를 주는’ 플러그인들을 모두
배제하고 채널스트립 하나로만 믹스를 하는 이 친구..
사실 저도 그 친구의 믹스를 들어보기 전까진, “기본으로 딸려오는 채널 스트립 하나로 뭘 하겠어?”
라는 마음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러던 와중에 이 친구가 자신의 믹스를 저에게 보내서 어떠냐고 들어보라고 해서 듣게 되었는데..
너무나 완벽한 사운드에 흠칫 놀랐습니다.
그 동안 수많은 돈을 들여 구입한 저의 플러그인들이 돈 낭비로만 보이면서 순간 많은 생각들이 오가더군요.
이 친구는 흔한 오디오 인터페이스도 없습니다.
패시브 스피커에 자신의 맥북에서 해드폰 단자로 출력을 해서 믹스를 하거든요.
무슨 컨버터가 좋느니.. 어떤 오디오 인터페이스가 필요 하느니.. 이 정도 장비가 없으면 안되느니..
어떤 플러그인은 꼭 필요 하느니..
이 모든 것들을 한 방에 사운드 하나 만으로 종결 시켜 버리는 친구 입니다.
장비의 한계 같은 것, 플러그인들의 필요성 같은 건 전혀 무의미 하게 만들어 버리는 것이죠.
어떤 플러그인을 사용하고 좋아 하는 것은 자신의 선택이지만,
때론 그 친구처럼 기본적인 플러그인만 가지고도 좋은 결과물을 뽑아낼 수 있어야 하는 건
필요한 스킬인 것 같습니다.
중요한 건 사람의 능력이지, 장비가 아니니까요.
매번 좋은 글 잘 읽고 있습니다 이번 글도 역시 우리가 흔하게 여기는 기본 플러그인에 대한 생각을 잘 말해주셨네요.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 흔히 그 가능성과 가치가 낮게 평가 되는 것이 기본 플러그인인 것 같네요.
동감합니다 사실 연주자들도 어떠한 이펙터를 걸고 뭘하든 의도만 정확하면 훌륭한 결과물을 뽑아내더라구요. 혹시 그 친구분의 믹싱도 들어볼수있게 올려주시면 좋을것같은데…말하는것 좋아하시는 분들떄문에 좀 곤란하시겠죠? ㅎㅎ
음향쪽은 인터넷에서 별에별 논란으로 흑탕범벅이되어서 올리시는분들은 부담이 클것같더라구요.
어쩃근 이번 포스팅도 감사히 잘 보았습니다.
주변 시선 게의치마시고 좋은 포스팅 많이 보았으면 좋겠습니다.
그 친구의 믹스는 그 친구와 그 친구의 클라이언트까지 묶여져 있는 것이라 가능할 것 같진 않네요.
제가 유투브에 올리는 영상에 들어간 음원과 사운드 클라우드는 모두 클라이언트의 허락을 받고 올리는 것이니까요.
그렇지만 그 친구는 100프로 대학원 입학을 앞두고 있는 친구이기 때문에 누가 뭐라 하던
인정을 받은 친구라.. 따로 증명이 필요할 것 같진 않습니다.
같은 글을 보더라도 말씀하신대로 받아드리지 않는 분들이 많이 있죠.
음향뿐만 아니라 모든 분야에서 마찬가지 인 것 같습니다.
결국엔 자신의 믿음이 중요한 것 이니까요.
저도 무조건 제가 옳다고 주장하는 건 아니구요.. 🙂
감사합니다.
오늘 “Sound City” 영화 봤습니다.
아직도 가슴이 벌렁벌렁하네요.
검색하시면 이유를 아실겁니다..^^
하하.. 처음 나왔을때 보았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후반부에 가니 조금 지루했더라는..!
충격적인 글 잘봤습니다~
근데 오디오인터페이스 없이 내장 사운드카드로 작업하고 믹스하는게 정말 가능한가요?? 좋은 귀가 있으면 몇백들여서 컨버터를 살필요가 없는건가요
좋은 장비가 있으면 당연히 좋습니다. 하지만 좋은 장비가 있어야지만 좋은 결과물이 나오는건 아니라는 것이 저의 생각입니다.
Sound city 에 폴 메카트니 나올때 감동이
역시… 기계는 사람의 손을 타는 것이니… ‘진정한 장인은 장비를 가리지 않는다’는 말이 생각납니다 ㅎ
정말 맞는 말 같습니다 🙂
[…] […]
좋은글 읽고 갑니다.. 강의 항상 잘보고 있습니다 ^^
감사합니다 🙂
[…] 프로툴스 기본 채널 스트립 플러그인 이야기 […]
안녕하세요 ㅎㅎ 항상 좋은글 무척 잘 보고 있답니다. 제가 스피커에 대한 지식이 좀 얇아서 그런데, 패시브 스피커를 외부 앰프/오디오인터페이스 같은 것 없이 맥북 해드폰 단자로 연결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 건가요? 제가 알기로는 패시브 스피커는 전선 같은 것으로 되어있던데, 전선이 아니더라도 L R 두개의 선을 맥북의 해드폰 단자(한개) 에 연결 할 수 있나요? 별도의 장비가 필요한 것인지.
안녕하세요.
패시브 스피커는 엠프가 따로 없기 때문에 맥북 해드폰 단자의 엠프의 출력으로는 충분한 소리를 내어주지 못할 것 같습니다.
아 그러면 저기 위에 나오는 친구분도 엠프는 사용하는 것이로군요. 오디오 인터페이스 없이 라고해서 엠프도 없이 가능한 방법이 있는건가..? 하고 생각했었네요 ㅎㅎ 답변 감사합니다.
오디오 인터페이스가 맥북의 DAC가 되는 셈이겠죠~!
저도 사실 쓰던것만 써서 만족스럽지 못하나 했는데 결국 사용자의 능력이란 진리는 변하지 않는군요.
다만 새로운 플러그인을 써서 작업환경을 다르게 하는 용도로는 참 좋은것 같다고 생각해요. 요즘은 플러그인들이 시작적으로 너무 이뻐 작업할맛이 나네요 ㅎㅎ
처음부터 답은 없었기에, 뭐가되던 극한을 달리면 그게 정답이 된다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