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일 전에 스튜디오가 아닌 다른 곳에서 출장 녹음 (Location recording) 을 할 일이 생겼습니다.
이제 몇 번 시행 착오를 통해 피아노와 바이올린을 녹음 하는 나름 최적의 방법을 찾은 것 같습니다.
적어도.. 제가 가진 장비 안에서는 말이죠.
피아노 바이올린 협연 녹음을 굉장히 여러 방법으로 시도해 보았습니다.
두 악기 모두 close miking 을 해보기도 하고,
한 악기는 가깝게 한 악기는 멀게
또 baffle 을 통해서 완벽하게 두 악기의 소리를 차단해 보기도 하고..
여러 실험의 결과 제가 생각하는 최적의 Violin Solo and Piano 녹음은
Omni 마이크 두 대를 spaced pair로 스테레오 마이킹을 하는 것으로 결정이 났습니다.
바이올린이 메인이기 때문에 마이크를 바이올린에 가깝게 잡고
두 대의 마이크 사이에 바이올린 연주자를 서게 하여서 이미지를 만든 후,
피아노와 마이크의 위치 조절을 통하여 믹스에서 피아노의 위치를 잡는 것
그리고 피아노 에 Spot 마이크 두대 를 피아노 해머 위에 두어서
피아노의 어택이나 피아노가 조금 더 필요할 경우엔 spot 마이크의 볼륨 조절을 통하여
최적의 사운드를 만드는 것 이죠.
홈 레코딩에서는 Omni Directional 마이크를 사용할 일이 그렇게 많지 않았습니다.
어쿠스틱 룸이 좋지 않은 곳에서 옴니 마이크는 굉장히 좋지 않고
또, 좋지 않은 Omni 마이크들은 on axis 를 제외한 다른 off axis의 소리가 좋지 않기 때문이죠.
그런데 현재 저의 학교에서는 간간히 DPA 4006TL 마이크를 사용할 수 있게 해줘서..
그리고 이번에 제가 녹음을 한 곳은 어쿠스틱이 스트링 녹음에는 그리 나쁘지 않은 곳 이였어서
두 가지의 모든 문제를 해결해 주었죠.
저의 Macbook Pro와
Universal Audio 아폴로 인터페이스
그리고 2 x DPA 4006TL , KEL HM3C
총 4채널의 모바일 장비로 녹음을 편하게 마쳤습니다.
녹음을 진행한 곳에 harpsichord 가 있어서 실물론 처음으로 보고
처음으로 쳐보기도 했네요 ^^;
튜닝이 좀 이상한데.. 바로크 튜닝인것 같았습니다.
Leave a Rep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