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 여기서 잠시..
아래로 내려가서 결과를 바로 보시지 말고, 위의 파일들을 다운 받아서
소리의 차이를 귀로 한번 먼저 느껴보세요.
튜브 마이크는 정말로 귀로 구분할 수 있는 튜브의 소리가 있는지,
Omni Directional 마이크는 정말로 그 느낌이 나는지
마이크에 대해 가지고 있던 자신의 편견이 있다면 정말로 들리는지..
마이크에 대한 수많은 생각과 고정 관념을 깰 수 있는 좋은 테스트 입니다.
모든 예제를 듣고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셨다면 종이에 적으신 뒤,
아래의 결과를 봐주세요.
아래는 이번 블라인드 테스트의 결과 입니다.
1번 – DPA 4006
2번 – Sennheiser 421
3번 – Neumann M147
4번 – Neumann M150
5번 – EV – RE20
6번 – AEA R84
7번 – Shure SM7B
8번 – Neumann U87
원래 이 블라인드 테스트를 처음 진행 하였을 때 학교 뮤지션들이 뽑은
마음에 드는 마이크 순위는 다음과 같았습니다.
남자 마이크
1위 – DPA 4006
2위 – Neumann M150
공동 3위 – Sennheiser 421, Neumann M147
4위 – EV – RE20
5위 – Shure SM7B
6위 – Neumann U87
7위 – AEA R84
이번에 음악 커뮤니티에서 설문으로 참여해 주신 커뮤니티 유저들의 순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가장 마음에 드는 마이크는 뮤지션들과 음악 커뮤니티 유저들의 의견이 둘 다 일치합니다.
1번 DPA 4006 가 선정되었습니다.
Omni Directional 마이크라니.. 재미있죠?
가장 마음에 들지 않는 마이크로는 AEA-R84 리본 마이크가 되었습니다.
원래 리본이 어두운 면도 있지만.. 이번 경우엔 굉장히 심하게 어둡게 녹음이 되어서 놀래기도 했습니다.
여자 마이크 뮤지션 순위 입니다
공동1위 – Shure SM7B, EV RE20
2위 – Neumann M147
3위 – Neumann U87
4위 – Sennheiser 421
5위 – Neumann M150
6위 -DPA 4006
7위 – AEA R84
커뮤니티 유저들이 뽑은 순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뮤지션들 통계에서는 유일한 두 개의 다이나믹 마이크였던 SM7B 와 EV-20 가
몇 배 이상의 비싼 컨덴서 마이크들을 제치고 1위를 차지했습니다.
남자 마이크 결과에서도 커뮤니티 유저들이 작성해 주신 설문에서는 SM7B 와 EV-20가
마음에 들지 않는 순위에서 가장 낮은 평을 받아,
전체 순위에서 가장 무난한 결과물을 보여주는 마이크라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좋은 결과를 내 주었죠.
남자 마이크에서 1위로 뽑힌 DPA 4006 가 여자 마이크에서는 굉장히 낮은 평을 받았습니다.
이런 결과물들이 보여주는 가장 큰 포인트는
무조건 비싸다고 좋은 마이크가 아니다.
상황에 따라, 노래에 따라, 싱어에 따라 어울리는 마이크가 달라진다.
가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뮤지션으로써, 엔지니어로써 꼭 필요한 능력 중 하나는 마이크와 소스의 매치를
귀로 듣고 파악할 수 있어야 함이겠죠.
예전에 아주 유명한 Greg Wells 라는 프로듀서가 제가 다니는 학교에서 2틀동안 프로덕션 세미나를
한 적이 있었습니다.
처음 만나는 보컬에게 가장 무난한 U87을 주더군요. 제가 듣기엔 전혀 나쁘지 않은 소리였습니다.
그런데 음악과 같이 보컬을 듣더니, 바로 M147 마이크로 교체하더군요.
그리고 나서도 소리가 마음에 들지 않아 고민하다가 ROYER R122 마이크를 설치하더니
“그래 이 소리야” 라고 하고 녹음을 진행하더군요.
저에겐 굉장히 충격적인 사건 중 하나였습니다. 괜히 Greg Wells 가 아니라는 생각과
그런 자그만한 디테일을 들을 수 있는 ‘감’과 귀가 부러웠죠.
어쨌든 이번 블라인드 테스트는 이렇게 마치겠습니다.
[…] 글로 남기기도 했었던 “보컬 마이크 블라인드 테스트” 이 후 […]
정말 감사합니다. 어디서도 보지못할 소중한 자료가 될거같아요.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한주수님 저는 대학에서 음향을 전공으로 공부하고 있는 김성엽이라고 합니다.
먼저 좋은 자료 감사드립니다.
테스트를 시작하면서 집에서 헤드폰을 착용하고 소리를 듣고 처음으로 한 것은 마이크의 특성을 적어보는 것이였고, 두번째로 한 것은 제 나름의 순위를 매기는 것을 해봤습니다. 결과를 보면서 큐오넷 회원분들의 순위와 비슷한 순위가 많았지만 약간 다른 순위도 있었습니다.
이렇게 소리를 먼저 듣고 마이크의 특성을 적어보고, 그 다음 어떤 마이크인지 알게 되는 것이 좋은 소리를 구분할 수 있게 되는 좋은 방법 중에 하나인 것 같습니다.
음향을 공부하고 있지만 이론적인 자료만 가지고 공부할때 어려운 점이 있는데 직접 소리를 들으며 경험하는 것이 어느 부분에서는 더욱 좋은 공부가 되는 것 같습니다.
좋은 자료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