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4월 21일 듀오 그룹 1415의 EP ‘Dear: X’ 가 발매 되었습니다. 이 EP 가 어떻게 구상이 되고 녹음이 되어 세상에 나왔는지 작업기를 적어보려 합니다.
먼저 스튜디오 세션 현장을 담은 짧은 영상으로 시작하겠습니다.
만남
1415에서 기타를 치는 오지현 군과는 약 6년 전 제가 한국에서 기타를 가르치던 시기에, 선생과 학생으로 처음 만났습니다.
너무나 잘생긴 외모를 가지고 있는 이 친구는 저에게 위압감을 주었지만.. 그 누구보다도 예의 바르고 음악적 열정이 넘치는 멋진 친구여서 깜짝 놀랬던 기억이 있습니다. 짧은 만남을 뒤로 하고 제가 캐나다로 돌아 오고서도, 간간이 서로의 안부를 물어보며 관계를 지속하던 중 1415의 보컬리스트 주성근님과 함께 앨범을 준비하고 있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처음에는 앨범 프로세스에 대해서 자문만을 해주는 형과 동생의 관계로 앨범 작업에 참여를 하였지만, 그들의 데모 곡들을 들으면서 무언가 욕심이 나기 시작하였습니다. ‘그냥 그렇게 짧게 세상에 나왔다 사라지는 곡들로 남게하고 싶지 않다’ 라는 생각이 들었고 자신들의 음악을 이 세상에 처음 내보이고 데뷔를 하는 그들의 첫 걸음에 힘을 보태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지현이가 캐나다로 와서 저와 함께 녹음 작업을 하고 싶다는 이야기를 했을때 밀려오는 부담감에 걱정이 되면서도 굉장히 기쁜 마음이 들었습니다. 그렇게 저는 이번 1415의 데뷔 앨범에 프로듀서, 레코딩 믹싱 엔지니어, 작사, 키보드와 피아노 연주자로 참여를 하게 되었습니다.
녹음
캐나다에서의 녹음을 선택한 결정적 이유는 사운드에 있었습니다. 곡에 어울리는 앨범 사운드를 만드는데 제가 현재 작업을 하고 있는 스튜디오가 많은 부분에서 맞아 떨어진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또한 곡들의 데모를 듣자마자 저의 머리속엔 1415의 곡들에 아주 좋은 연주를 보태줄만한 연주자들이 떠올랐던 것도 큰 이유가 되었습니다.
베이스의 Justin Dunlop (왼쪽), 드럼의 Mike Ardagh
현란한 연주보다는 보컬과 기타의 멜로디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Groove 를 살려줄만한 연주가 이 앨범 사운드에 필요하다고 생각이 들었고 그 의견에는 1415도 흔쾌히 수락했습니다. 녹음 당일 이 연주자들에게 모든것을 맡기는 것이 아닌 이 연주자들로 하여금 자신이 원하는 연주를 뽑아내는 오지현군의 음악적 감각은 정말 멋졌습니다.
녹음실
캐나다 토론토의 Humber College 대학교에 소속이 되어있는 Humber College Recording Studio 는 Medium Size 룸을 가지고 있는 스튜디오입니다. 빅밴드 레코딩부터 풀 밴드 트레킹까지 아주 다양한 음악 작업을 할 수 있는 사이즈를 가지고 있고, 특히 드럼 녹음을 할 때 아주 좋은 공간감을 받아낼 수 있는 것이 제일 큰 장점인 스튜디오 입니다. 즉 제가 생각했던 그루브 적이고 발랄한 드럼 사운드를 만들어 내기에 최적의 장소란 생각이 들었죠. SSL duality 콘솔도 다른 스튜디오들에 비해서 굉장히 관리가 잘 되어 있는 편이기도 하죠 ^^;
Drums
제가 이 앨범에서 제일 중요하게 생각한 것은 이미 언급한 대로 드럼 사운드 입니다. 비교적 악기 구성이 간단한 곡들로 이루어져 있는 곡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그루브와 디테일, 그리고 재미있는 요소들을 채워줄 수 있는 악기는 드럼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드러머이지만 훌륭한 드럼 테크니션이기도한 드러머 Mike Ardagh 는 스네어를 6개나 가지고 와서 곡에 맞는 스네어 소리를 찾기 위한 여정을 함께 해주었습니다 🙂 드럼 녹음은 어떤 마이크를 어디에 설치하느냐보다 어떤 드럼 세트를 어떤식으로 튜닝하느냐가 훨씬 더 중요합니다. 각 드럼 통과 통의 관계, 곡에 어울리는 튜닝 그리고 어택과 릴리즈.. 이 모든것은 마이크를 설치하기 전에 이미 이루어져야만 합니다. 연주자의 터치는 말할 필요도 없이 중요하고 말이죠. 좋은 사운드는 녹음실 Live Room 에서 만들어져야 합니다.
이번 드럼 녹음에서는 제가 평소에 사용하는 것보다 상당히 많은 마이크가 투입이 되었는데요, 녹음 세션의 시간이 굉장히 부족했기 때문에 하나의 드럼 세트에서 다양한 사운드를 추출해내기 위한 장치로 사용이 되었습니다. 그럼 총 녹음 패치 리스트를 한번 함께 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마 이 패치 리스트에서 가장 흥미로운 부분은 Alt OH 일겁니다. 두 개의 다른 오버해드 마이크 세트를 사용한 이유는 두 소리를 섞기 위함이 아니라, 두 개의 다른 오버해드 사운드를 녹음해서 곡마다 다르게 사용하기 위해서 였습니다. 시간적 여유가 있다면 마이크를 바꾸어 가면서 녹음을 하는 것을 좋아하지만 시간적 여유가 없을 경우엔 이렇게 다양한 사운드를 미리 받아놓고 믹스 단계에서 필요한 사운드만을 뽑아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EP 수록곡 중 제가 제일 좋아하는 드럼 사운드를 가지고 있는 5번째 곡 ‘뜬구름’ 이라는 곡은 이렇게 수많은 마이크 중 오버해드 마이크 두개, 스네어 하나, 킥 아웃 마이크 총 4개의 마이크만이 사용이 되었습니다 ^^;
드러머 왼쪽에서 드럼 세트를 바라보고 있는 마이크는 Neumann 의 DM-1 이라는 디지털 마이크 입니다. 프리엠프, 컴프레서, 리미터, 컨버터 모두 마이크 안에 들어 있어서 AES 케이블을 이용하여 바로 디지털 신호를 뽑아낼 수 있는 마이크죠. 오버해드 센터의 느낌으로 드럼 사운드에 사용이 되었습니다. 킥 드럼 앞에 있는 스네어 가방은 어떤 곡들에서는 드럼 킥 드럼의 릴리즈를 (혹은 레조넨스)를 줄여주기 위한 용도로 사용이 되었습니다.
스네어에는 많은 엔지니어들이 사용하는 방식인 Shure SM57 과 AKG451 을 함께 놓아 섞는 방법을 사용하였지만 정작 믹스에는 곡에 따라 어떤 곡은 SM57 만 어떤 곡은 AKG451만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이번 세션에서는 3개의 다른 룸 마이크가 사용이 되었습니다. Royer R121 세트, AEA R84 세트 그리고 Neumann M150 세트. 녹음실 안에서 드럼 소리가 가장 좋게 들리는 곳에 두 개의 룸 마이크 세트를 설치하고 Close Room Sound 가 필요할때는 두 개의 세트에서 고르고, 약간 먼 공간감이 필요할 때는 멀리 설치한 M150 세트를 이용하였습니다. 요즘처럼 리버브 플러그인들이 굉장히 좋아진 때에는 사실 룸 마이크의 필요성이 점점 더 줄어들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위치를 한번 정하면 소리를 바꿀 수 없는 녹음보다 다양하게 원하는 소리를 시간을 들여 만들 수 있는 것이 디지털의 장점이니까요. 하지만 현장에서 원하는 소리를 마이크를 통하여 듣고 그것을 토대로 내가 원하는 소리를 녹음 단계에서 만드는 것도 앨범 사운드의 큰 그림을 보는데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아티스트가 첫 테이크를 하고 컨트롤 룸으로 들어왔을때, 프로듀서로써 머리속에 그리고 있는 사운드를 들려주는 것은 중요합니다. “아 아직 믹스가 안되서.. 나중에 믹스하면 좋아져!” 라고 말하면 안되고 다양한 사운드를 페이더를 통하여 현장에서 바로 들려줄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는 모든 테이크를 라이브로 믹스하여 최대한 앨범 사운드에 가깝게 만들어 아티스트에게 들려주려고 합니다.
또한 이렇게 만들 수 있는 사운드를 녹음 시작 초기에 들려줄 수 있다면, 아티스트와 앨범 사운드에 방향에 대해서 스피커를 통하여 들리는 사운드를 함께 들으며 결정할 수 있고 또 연주자들의 연주나 사운드를 마이크가 아닌 악기 자체에서 (드럼 튜닝, 연주 기법, 베이스 기타 픽업의 위치, 톤의 위치 등) 조정할 필요가 있고 없고를 아티스들과 함께 듣고 이야기 할 수 있습니다.
Bass
사진에는 없지만 베이스는 Avalon U5를 통한 DI 소리 그리고 Ampeg 베이스 엠프를 RE20 와 M149를 사용하여 녹음 하였습니다.
Acoustic Guitar
어쿠스틱 기타에는 Schoeps MK21 마이크 세트와 DPA 4006 마이크 세트가 사용이 되었습니다. 애석하게도 이번 녹음에서는 DPA 4006 마이크의 소리가 아주 좋지 않았습니다.. 대신 Schoeps MK21 마이크가 어쿠스틱 기타의 소리를 굉장히 앞으로 튀어나오는 듯한 사운드로 잘 잡아주었습니다.
보컬 녹음
아쉽게도 보컬의 주성근님은 저와 함께 캐나다에서 녹음 작업을 할 수 없었기 때문에, 보컬 녹음은 1415가 한국의 Universal Music Korea 스튜디오에서 아티스트가 직접 진행을 하였습니다. 음악적 센스 뿐만 아니라 프로툴스 운영 능력도 실력가인 아티스트랑 같이 작업을 하는 것은 엔지니어로써 굉장히 감사한 일 입니다 🙂 직접 본인들이 녹음을 하고, 원하는 테이크를 컴핑하여 세션을 보내주는 식으로 상당히 여러번 서로 프로툴스 세션을 보내고 받으며 장거리 녹음 작업을 마무리 할 수 있었습니다.
Mixing
Dear : X EP 의 첫곡인 평범한 사랑을 하겠지만의 프로툴스 세션 스크린샷 입니다. 아쉽게도 한 화면에 모두 차질 않았습니다.
각 사운드의 프로세싱을 위해서 어떠한 플러그인들이 사용이 되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Drums
Goodhertz – Faraday Limiter, MDW EQ, UAD SSL E Channel Strip, Altiverb 7, UAD 1176AE, Fabfilter Pro MB, UAD Neve 33609 Compressor, UAD Neve 88RS Channel Strip, Slate Digital VTM, UAD API 2500 Compressor
적어 놓으니 많은 플러그인을 사용하였지만 막상 각 채널에는 그렇게 많은 플러그인들이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이 곡은 다른 곡들과 다르게 유일하게 드럼에 리버브 플러그인을 사용하였는데요, 스네어와 쉐이커에 독특한 소리를 입히고 싶어서 플러그인 리버브로 색다른 공간을 만들어 보았습니다. 이 곡을 음반의 다른 곡들과 비교해보시면 확- 티가나게 들리실 것 같습니다.
요즘 제가 가장 선호하는 리버브 플러그인 이라고 생각되는 Altiverb 7 이 사용되었는데요 재미있게도 둘 다 Leixcon 복각 제품들이 사용되었네요.
Electric Guitar
이 곡은 어쿠스틱 기타로 구성이 되어있는 다른 곡들과 다르게 Electric Guitar 가 메인으로, 솔로까지 담당하고 있습니다.
사용된 플러그인들은 : UAD Fender 55 Deluxe Guitar Amp, MDW EQ, UAD 1176, UAD, API 550, Fabfilter Pro MB, Kush Audio Clariphonic MK1, UAD EMT 140, UAD Lexicon 224, McDSP EC-300
Bass
베이스 기타는 DI 소리와 엠프 사운드를 받았지만 믹스 단계에서는 DI, 그리고 두 개의 마이크의 사운드 모두 곡에 어울리지 않는다는 생각이 들어서 DI 소리를 베이스 엠프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원하는 베이스 소리를 만들었습니다. 요즈음에는 정말 베이스 엠프 시뮬레이션 플러그인들이 좋게 나왔다는 생각을 하곤 합니다.
사용된 플러그인들은 : UAD Ampeg B15N, UAD SSL E Channel Strip, MDW EQ, UAD LA-2A, Fabfilter Pro-MB
Vocal
일반적으로 보컬 트랙에는 아날로그 복각 채널 스트립을 잘 사용하지 않게 되곤 하는데 이번 믹스에서는 여러 아날라고 복각 플러그인들이 사용이 되었습니다.
사용된 플러그인들은 : 메인 보컬 : MDW EQ, UAD SSL E Channel Strip, UAD 1176, UAD LA-2A, Fabfilter Pro DS 백그라운드 보컬 : MDW EQ, Fabfilter Pro DS, UAD Manley Voxbox, Flux:: Solera Compressor
볼륨 오토메이션, Clip Gain 오토메이션 뿐만 아니라 세 개의 다른 컴프레서 플러그인을 사용하여 과도하지 않은 좀 더 자연스러운 보컬 컴프레션 사운드를 만들어 보려고 노력했습니다.
Mix Bus
모든 트랙들이 하나로 모이는 믹스 버스에는 총 4개의 플러그인이 사용되었습니다.
UAD Manley Vari-Mu Compressor, UAD API 2500 Compressor, UAD Manley Massive Passive, iZotope Ozone 7
Manley Vari-Mu 컴프레서는 아날로그 하드웨어를 몇 년 정도 사용하였었습니다. 개인적으로 이 컴프레서는 3~4dB 이상의 버스 컴프레션을 하게 되면 좋지 않은 소리를 내어주지만, 3dB 아래의 1~2dB 정도 차분하게 믹스를 만들어줄 때는 굉장한 뉘앙스를 가지고 있는 제품 입니다. 버스 컴프레서는 작업을 하는 트랙의 성향에 따라서 어울리는 컴프레서가 극과 극이라고 생각하기 합니다. Vari-Mu 로 아주 조금 잡아준 사운드를 UAD API 2500 컴프레서를 이용하여 좀 더 앞으로 나오는 사운드로 만들어 주려고 노력했습니다.
UAD Manley Massive Passive 는 개인적으로 High Pass Filter 만 이용하려고 사용하기도 할만큼, 이 플러그인만이 가지고 있는 하이패스의 성향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아무래도 저역대를 많이 강조한 믹스이기 때문에 하이패스와 로우 쉘빙으로 저역대를 조금 다듬어 주었습니다.
마지막은 역시 오존.. 마스터링은 제가 할 것이 아니였기 때문에 Gain Reduction 이 거의 없이 피크 레벨 방지용으로만 사용하였습니다.
이번 EP 작업에서 재미있었던 것은, 각 곡마다 다른 사운드를 만들기 위해서 다른 마이크의 조합을 사용했다는 이야기에 이어서, 초반에 믹스 세션을 셋업할때 한 곡은 드럼 사운드에 SSL 플러그인만, 한 곡은 Neve 플러그인만, 한 곡은 API 플러그인만을 사용하여 믹스를 하려는 생각을 했었습니다. 조금이나마 다른 색깔을 입히기 위함 이였는데요, 믹스를 하다보니 처음에 SSL 로 믹스했던 곡의 사운드를 다른 플러그인들로 계속 따라하고 있는 저를 발견하곤, 대부분 드럼 사운드는 SSL 채널 스트립만을 이용하여 작업을 하게 되었습니다. 인위적으로 다른 사운드를 만드려고 하는 것보다, 곡들이 지향하는 그리고 곡들이 가고자 하는 방향을 도와주는 것 자체가 사운드 메이킹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마지막 곡 “뜬구름” 이라는 곡에는 다른 곡들에는 없는 피아노가 녹음되었습니다. 여러번 언급한대로 이번 앨범은 굉장히 적은 예산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녹음 스튜디오에서의 시간이 너무나 부족했고, 당일 모든 파트를 녹음을 한 뒤 이어지는 다른 녹음 세션을 위해서 녹음실을 정리하며 치우는 도중 잽싸게 옆에 설치해 둔 Yamaha C7 피아노로 피아노 파트를 제가 직접 연주하여 녹음하였습니다.
피아노 믹스에는 별다른 플러그인 없이 아주 젠틀하고 투명한 컴프레션을 위하여 Flux:: Syrah 플러그인만이 조금 사용되었습니다.
한 곡만 살펴보았는데 지면이 이렇게나 많이 소비가 되었네요. 다른 곡들에 사용이된 플러그인들도 궁금하신 분들이 계시다면 작업기 2편을 적어보도록 하겠습니다 🙂
Mastering
마스터링은 Reuben Ghose (http://mojitomastering.com)라는 마스터링 엔지니어와 캐나다 토론토에있는 그의 마스터링 스튜디오에서 진행을 하였습니다. 음악에 대한 많은 부분에 있어서 저와 비슷한 철학을 공유하는 분으로써 제가 믿고 맡길 수 있는 마스터링 엔지니어 입니다. Reuben 이 원하는 방향으로 마스터링을 한 뒤 제가 직접 스튜디오에 방문하여 같이 이런 저런 부분을 고민하고 결정하여 최종적으로 1415에게 의견을 받아 마스터링을 마치게 되었습니다.
이번 EP 는 믹스에서도, 마스터링에서도 억지로 음압을 키우는 흔히 우리가 이야기하는 웨이브 파형을 ‘소세지’로 만드는 것을 하지 않았습니다. 한국 가요 시장에 내놓는 EP 이고 음압 경쟁이 아직도 필요하다고들 하지만 음악이 가지고 있는 음악적 다이나믹을 손상하면서까지 음압을 올리는 것은 1415도 원하지 않았기 때문 입니다. 물론 모바일 디바이스, 컴퓨터 등 소형 스피커 시스템들에서도 들어줄 수 있을만큼의 음압은 나와줘야 하기 때문에 음압을 위한 리미팅이 어느정도는 사용이 되었습니다.
길었던 1415의 EP, Dear : X 작업기 어떠셨나요? 도움이 될만한 내용이 있었기를 바라며 마무리를 하려 합니다.
끝으로 이번 음반의 타이틀 곡 ‘선을 그어 주던가’ 뮤직비디오를 남기면서 마치겠습니다.
1415는 이번 EP 가 데뷔 음반이라고 느껴지지 않을 만큼 준비되었고, 음악에 대한 엄청난 열정으로 저의 마음을 뜨겁게 만든 훌륭한 뮤지션들 입니다. 음악적으로 앞으로 더 얼마나 멋지게 성장할지 기대가 됩니다.
1415가 직접 쓴 앨범 작업기는 아래 링크를 가시면 볼 수 있습니다.
http://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7273965&memberNo=12162502&vType=VERTICAL
1415 많이 사랑해 주세요 🙂
요즘 1번트랙 무한반복하고있어요~ 일렉기타소리가 얼마나 좋은지 모르겠네요 ~ 역시 주수님이 만지신 사운드는 최고 ㅠㅠ 감동 -덕진-
감사합니다 덕진님!
기대 됩니다.. 꼭 들어볼께요
감사합니다 🙂
이렇게 멋지게 작업하셔서 좋은 믹싱과 함께 음악을 듣는게 참 좋네요!!!
요즘 음악들을 보면 이런 엄청난 노력이 없이 쉽게쉽게? 뉘앙스가 좀 이상하지만;;ㅋㅋ 대충 때려맞추고 심플하게 믹싱해서
나오는 앨범이나 음원들이 많아서 아쉬울따름입니다.. 강좌보면서 열심히 믹싱공부아닌 공부를 하고있는데 너무 도움되구요.
기회가 된다면 꼭 같이 작업해보고싶습니다 ㅎㅎ
감사합니다 🙂
오~ 이 팀 작업하셨군요~!! 좀 더 귀기울여 들어보고 싶어 지네요~!! ^^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