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76 컴프레서 사용법
음악 하드웨어의 대표적 명기 중 하나인 1176.
이미 수많은 회사들이 플러그인 버전으로 한번 쯔음은
에뮬레이션을 할 정도로 인기가 많은 컴프레서 중 하나죠.
이번 동영상 강좌에서는 1176의 기본적 사용법과 베이스 기타의 예제에 사용해서
그 응용법까지 한번 다루어 보았습니다.
음악 하드웨어의 대표적 명기 중 하나인 1176.
이미 수많은 회사들이 플러그인 버전으로 한번 쯔음은
에뮬레이션을 할 정도로 인기가 많은 컴프레서 중 하나죠.
이번 동영상 강좌에서는 1176의 기본적 사용법과 베이스 기타의 예제에 사용해서
그 응용법까지 한번 다루어 보았습니다.
좋은 강좌 잘보고 갑니다. 목소리도 너무 좋으세요~!!
감사합니다 🙂
참 말짱 도루묵이 맞습니다 ㅋ 말꽝 아닙니다~~
역시 맞았군요 🙂
매번 잘 배우고 갑니다~ (_ _)
감사합니다 🙂
좋은강좌 감사합니다! 지금까지 BF76를 썼는데 완전히 잘못사용하고있엇군요..
궁금한점이 한가지 생겼는데 어택이 빠르다는것이 콤프레서가 더 빨리 작동 한다는 뜻인가요?
예를 들어 어택을 1ms으로 놧을경우10ms보다 어택이 더 빠르게 설정되었고 더 빨리작동한다는 뜻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컴프레서가 정말 간단하면서도 제대로 쓰기 어려운 프로세서인거같네요..
소리가 정해진 Threshold 를 넘었을 때, 얼마나 빠르게 컴프레서가 작동하느냐가 컴프레서 어택의 기본 원리 입니다.
즉 말씀하신 대로 어택이 빠르다는 것은 더 빨리 작동을 한다는 것이 맞죠 🙂
아참 그리고 1176하드웨어를 보면 none이라는 기능이있어서 컴프레션은 하지않고 색갈만 입힐수있는 기능이 있었던걸로 기억하는데 플러그인으로 그 기능을 사용하려면 인풋을 컴프레션이 안걸릴정도로만 걸고 게인매칭을 하면되는건가요? 그리고 Ratio 4가지 버튼을 다누르면 무슨효과가 생기는지도 궁금합니다~
질문이 너무많은거같네요.. 죄송합니다!
1176 오리지널 하드웨어에 none 이라는 기능은 처음 들어 보네요. 컴프레션은 하지 않고 색만 입히기 위해서는 input 을 컨트롤 하며 컴프레서가 작동하지 않는 한에서 통과만 시키는 것 같습니다.
플러그인으로 동일한 효과를 구현 하시려면 harmonic distortion 이나 eq curve 등이 복각이 된 플러그인을 사용하셔야겠죠 🙂
그리고 하드웨어에서 Ratio 모든 버튼을 다 누르면 모든 컴프레서 ratio 커브가 작동이 되면서 높은 ratio 의 세팅이 가해집니다.
좋은 강좌 감사합니다~~~~!!!